Current Location:Home > NEWS > 첨단산업 신시장 선점, 범정부 표준역량 총결집
첨단산업 신시장 선점, 범정부 표준역량 총결집
share: Updated:2025-05-07 00:00:00

정부는 첨단산업 분야 표준화와 해외인증 대응 지원 정책에 올해 2,475억원(전년 대비 9% 증가)의 예산을 투입한다. 국가표준심의회(의장 :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는 산업통상자원부 등 18개 부ž처ž청이 표준화 정책을 종합해 마련한 2025년도 국가표준시행계획 심의·의결하였다.
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마지막 시행계획인 ‘25년 시행계획에서는 AI, 반도체, 6G 등 첨단산업 분야 신시장 확보를 위한 기술 표준화*에 집중하여 성과 확산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붙임1). 해외인증지원단 운영 등을 통해 우리 수출기업의 인증 부담 완화도 지원한다.
* 첨단산업 국가표준화 전략(’24.5월, 산업부), 디지털 기술 표준화 전략(‘23.11월, 과기부) 이행 등
또한, 국민의 행복한 삶을 위한 생활편의 및 안전 표준을 지속 마련하고, 기업에서 표준화를 담당할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개발 성과의 사업성 강화를 위한 R&D-표준 연계 확대 등 민간이 주도하는 표준화 체계도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제5차 국가표준기본계획(‘21~‘25)의 이행실적을 점검한 결과 국제표준 제안, 서비스표준 개발 등 성과 지표의 최종 목표들을 ‘24년 조기 달성하였다(붙임2). 이는 한국인 ISO 회장을 비롯한 국제표준 민간 전문가들과 각 부처가 세계시장 선점을 위한 국제표준 개발 등에 매진한 성과로 보인다.
아울러, 향후 5년의 국가표준화 정책 방향을 담는 6차 국가표준기본계획(‘26~‘30) 수립하고자, 18개 부ž처ž청은 ‘범부처 민ž관 합동 TF‘를 구성하여 디지털žAIžESG 전환 등 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전략을 마련하기로 뜻을 모았다.
오광해 표준정책국장은 “‘25년도 부처별 시행계획이 차질없이 추진될 수 있도록 부처간 협력을 강화하겠다.”면서, “제6차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경제ž산업ž사회 전 분야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중장기 표준 전략을 마련하는데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Friend Link
Ministry of Commerc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State Administration for market Regulation
Standardiz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National Center of Standards Evaluation,SAMR
China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ization
China zhijian Publishing House
TechnicalSupport
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国家标准技术审评中心 电话:010-65009141 转(121)